티스토리 뷰
목차
아직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법이 많이 헤갈리시죠?
소득·재산 산정 방법, 공제 기준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.
소득인정액은 기초연금 수급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입니다.
이 글을 읽으시면 내가 수급 가능성이 있는지 스스로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!
직접 수급 가능성 확인해보세요!
1️⃣ 소득인정액이란 무엇인가요?
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
즉, 본인의 월 소득과 재산을 일정 방식으로 계산하여 합산한 금액입니다.
2️⃣ 소득평가액 계산법
✅ 월 소득으로 포함되는 항목
🔸근로소득 (일용직, 정규직 등)
🔸사업소득
🔸연금소득 (국민연금, 공무원연금 등)
🔸금융소득 (이자·배당소득)
🔸기타소득
✅ 근로소득 공제 (근로소득이 있는 경우)
🔸[(근로소득 - 103만원) × 70%] + 103만원
→ 저소득 어르신의 근로 의욕을 고려해 일정 부분 공제해 줍니다.
3️⃣ 재산의 소득환산액 계산법
(재산 - 기본재산액) × 소득환산율 / 12개월
✅ 재산에 포함되는 항목
🔸부동산 (주택, 토지 등)
🔸금융자산 (예금, 보험, 펀드 등)
🔸자동차
🔸기타 재산
✅ 기본재산액 (2025년 기준, 지역별 차등)
🔸대도시: 약 1억 3500만원
🔸중소도시: 약 8500만원
🔸농어촌: 약 7250만원
✅ 소득환산율
🔸4% (연 4% 환산 → 월 0.333% 적용)
예시)
🔸서울에 거주하는 어르신, 재산 2억원인 경우:
🔸(2억원 - 1억3500만원) × 4% ÷ 12 = 약 216,666원/월
4️⃣ 소득인정액 최종 계산 예시
☑️사례:
🔸근로소득: 150만원
🔸공무원연금: 30만원
🔸금융소득: 10만원
🔸재산: 2억원 (서울 기준)
① 소득평가액
🔸근로소득 공제: (150-103)×70% + 103 = 125.9만원
🔸연금소득: 30만원
🔸금융소득: 10만원
🔸소득평가액 합계: 125.9 + 30 + 10 = 165.9만원
② 재산의 소득환산액
🔸(2억 - 1억3500만원) × 4% ÷ 12 = 21.6만원
③ 소득인정액 합산
🔸165.9 + 21.6 = 약 187.5만원
5️⃣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소득인정액 기준
🔸단독가구: 약 223만원 이하
🔸부부가구: 약 356만 8천원 이하
👉 따라서 위 사례의 경우 단독가구라면 수급 가능성이 있습니다!
6️⃣ 소득인정액 계산 TIP
🔸근로소득 공제 적극 활용
🔸재산이 많을 경우 기본재산액 공제 확인
🔸금융소득, 보험 등 놓치기 쉬운 부분 꼼꼼히 점검
7️⃣ 결론: 스스로 계산해보고 빠르게 신청하세요!
소득인정액은 복잡해 보이지만 원리만 알면 누구나 계산 가능합니다.
조금이라도 수급 가능성이 있다면 꼭 신청하시고,
상담을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!
기초연금 문의기관 : 보건복지부☎️129 ,국민연금공단☎️1355
2025 기초연금: 수급자격 조건 수급액 신청방법 필요서류 알아보기
만 65세 이상이라면 꼭 확인해야 할 2025년 기초연금 수급자격! 소득 및 재산기준, 신청방법, 예상 수령액 등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기초연금 수급자격 조건에 대해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.
keep.thx9799.com